🧾 정부가 지급한 소비쿠폰, ‘현금깡’으로 둔갑?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차원에서 일정 요건을 충족한 국민에게 *소비쿠폰(모바일 상품권 등)*을 지급하고 있다.
이 쿠폰은 정부 인증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주로 동네마트, 전통시장, 식당, 약국 등 소상공인 업종에 사용하도록 설계되었다.
하지만 일부 수급자들은 "현금이 급하다"는 이유로 이 쿠폰을 중고거래 플랫폼에서 현금으로 판매하는 꼼수를 부리고 있다.
가령, 14만 원 상당의 쿠폰을 13만 원에 판다는 식이다. 이런 거래는 명백한 보조금 부정 사용이자 정부 정책의 왜곡이다.
🚨 정부의 강경 대응… “환수·제재·형사처벌까지”
행정안전부는 7월 들어 중고거래 플랫폼에 유통 중인 소비쿠폰 매물을 모니터링하고,
부정 유통 시 다음과 같은 조치를 예고했다.
- 지급된 소비쿠폰 전액 환수
- 제재부가금 부과
- 보조금법 및 보조금 관리법 위반 시 형사처벌 가능
즉, 단순히 “팔았을 뿐인데요”라는 말로는 책임을 피할 수 없다.
정부는 또한 지자체에 신고센터 운영 지시와 함께 현장 단속 강화를 주문했다.
🛑 중고거래 플랫폼도 대응 나섰다
국내 주요 중고거래 플랫폼들 역시 소비쿠폰 현금 거래가 활발히 이뤄지자 발 빠르게 대응 중이다.
- ‘소비쿠폰’, ‘13만’, ‘깡’ 등 키워드 자동 필터링
- 유사 게시물 실시간 삭제
- 신고기능 상단 배치 및 모니터링 강화
특히 한 플랫폼 관계자는 “정부 정책 취지를 고려해 위반 게시물은 원칙적으로 삭제하고 있으며, 반복 이용자에겐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 왜 이런 꼼수가 나오는 걸까?
현금깡이 성행하는 배경에는 다음과 같은 요소가 있다.
원인 | 설명 |
현금 유동성 부족 | 일부 저소득층 수급자들이 당장 필요한 현금을 얻기 위해 쿠폰을 파는 경우 |
쿠폰 사용처의 제약 | 가맹점이 제한되어 원하는 곳에서 자유롭게 쓰기 어려움 |
정보 부족 | 사용처를 찾기 어려워서 사용을 포기하고 판매 시도 |
하지만 이런 행위는 결국 제도 자체를 무력화시키고, 정부 재정에 손실을 주는 행위다.
✅ 소비쿠폰, 어떻게 제대로 사용할까?
정부는 정식 소비쿠폰 사용처를 검색할 수 있는 앱과 웹사이트를 제공 중이다.
또한, 카드사 앱이나 지역사랑상품권 앱에서도 사용처를 확인할 수 있다.
소비쿠폰은 전통시장, 동네 마트, 음식점, 편의점, 약국 등에서 사용 가능하므로
가까운 곳에서 꼭 필요한 생필품이나 식비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책의 의미를 지켜야 할 때
소비쿠폰은 단순한 ‘현금성 지원’이 아니다.
소비를 촉진하고 소상공인과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된 정부정책이다.
일부의 꼼수가 전체 시스템을 무너뜨리지 않도록,
정부와 플랫폼, 그리고 국민 개개인의 책임 있는 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확인 방법, 앱 설치 가이드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 확인 방법, 앱 설치 가이드
소비쿠폰, 어디서 쓸 수 있을까?지역사랑상품권 앱부터 카드사 앱까지,사용처 검색과 설치 방법을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1. 지역사랑상품권 앱 (지류·모바일 상품권 전용)📲 설치 방법안드로
ddd.infoflow.co.kr
2025.07.07 - [분류 전체보기] -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부터 신청 방법까지 A to Z
민생회복 지원금, 사용처부터 신청 방법까지 A to Z
✅ 전 국민 대상 소비쿠폰 1차 지급 시작! 사용처·신청방법 총정리7월 18일 기준으로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이 시작됩니다.정부는 민생 경기
ddd.infoflow.co.kr